대구 도시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도시철도는 대구광역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89년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건설되었다. 1호선은 1997년 일부 구간 개통 후 199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2호선은 2005년에 개통되었다. 3호선은 2015년에 개통되었으며, 2024년에는 대경선이 개통되어 구미와 경산을 연결한다. 현재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이 운영 중이며, 4호선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1호선과 2호선은 도시 철도, 3호선은 모노레일 방식을 사용하며, 대구교통공사에서 운영한다. 대구 도시철도는 1995년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와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등의 사건을 겪으며 안전 시스템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지역 교통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지역 교통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소유주 | 대구광역시 |
위치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산시, 칠곡군, 구미시 |
교통 유형 | 도시 철도 및 모노레일 |
노선 수 | 도시 철도 2개 노선, 모노레일 1개 노선 (총 3개 노선) |
역 수 | 도시 철도 60개 역, 모노레일 포함 총 90개 역 |
개통일 | 1997년 11월 26일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차량 | 도시 철도 차량 및 모노레일 |
총 연장 | 도시 철도 , 모노레일 포함 |
궤간 | (도시 철도만 해당) |
![]() | |
한국어 명칭 | |
한글 | 대구도시철도 |
로마자 표기 | Daegu dosicheoldo |
기술 정보 |
2. 역사
대구 도시철도는 1989년 9월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1991년 1호선 착공, 1995년 대구광역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1996년 2호선 착공 등 여러 단계를 거쳐 건설되었다.
1997년 11월 26일 1호선 1단계 구간(진천역-중앙로역) 개통을 시작으로, 1998년 5월 2일 2단계 구간(중앙로역-안심역)이 개통되었고, 2002년 5월 10일에는 3단계 연장 구간(대곡역-진천역)이 개통되었다.
2003년 2월 18일에는 중앙로역에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하여 교대역-동대구역 구간 운행이 8개월간 중단되기도 했다. 이후 2005년 10월 18일 2호선 1단계 구간(문양역-사월역)이 개통되었으며, 반월당역에서 1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9년 5월 17일에는 모노레일 경전철인 3호선이 착공되어 2015년 4월 23일에 개통되었다. 3호선은 명덕역에서 1호선, 청라언덕역에서 2호선과 환승된다.
2016년 9월 8일 1호선 서편 연장 구간(설화명곡역-대곡역)이 개통되었고, 2017년 5월 25일에는 1, 2, 3호선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9년 5월 17일 1호선 안심역-하양역 구간이 착공되어, 2024년 12월 21일 개통되었다.
2023년 6월 28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기본 계획이 확정되어, 2026년 착공 후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2. 1. 1980년대 ~ 1990년대: 건설 시작 및 1호선 개통
1989년 9월 1일, 대구시는 도시 교통 개선을 위해 대구 지하철 건설본부를 설립하였다.[1] 1990년까지 건설 사업 타당성 평가 연구가 진행되었고, 1991년 1월에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 지침이 승인되었다.[1] 이 지침은 도심 교통 문제 해결, 통근 시간 단축, 환경 개선, 교통망 확대, 수송 능력 향상을 목표로 했다.[1]1991년 12월 7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착공되었다.[1] 1995년 11월 20일에는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가 창립되었다.
1995년 4월 28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건설 현장인 상인동 부근에서 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하였다.[5] 이 사고로 등굣길 영남중학교 학생들을 포함하여 101명이 사망하고 202명이 부상당했다.[5]
1996년 12월 19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착공되었다.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진천역~중앙로역)이 개통되었고,[1] 1998년 5월 2일에는 2단계 구간(중앙로역~안심역)이 개통되었다.[1] 1996년 12월 31일 착공된 3단계 대곡 연장 구간(대곡역~진천역)은 2002년 5월 10일 개통되었다.[1]
2. 2. 2000년대: 2호선 개통 및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2년 5월 10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단계 연장 구간(대곡역~진천역)이 개통되었다.2003년 2월 18일에는 중앙로역에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교대역~동대구역 구간 운행이 8개월간 중단되었다.[15] 50대 뇌병변 장애인이 자신의 신병을 비관하여 플라스틱 통에 든 휘발유에 불을 붙여 바닥에 던졌고, 이 불이 객차로 옮겨붙어 객차가 전소되고 역사가 심하게 훼손되었다. 이 사고로 192명이 사망하고 148명이 부상당했다.
사고 이후 8개월 동안 교대역과 동대구역 사이를 잇는 셔틀버스가 운행되었으며, 중간 승차는 불가능했다.[15] 2003년 10월 21일,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형태로 1호선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고, 2003년 12월 31일 중앙로역 영업이 재개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전국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전 차량의 내장재가 불연재 또는 유독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재질로 교체되었다.
2005년 10월 18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문양~사월)이 개통되었고, 반월당역에서 1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1]
2. 3. 2000년대 후반 ~ 2010년대: 확장 및 3호선 개통
2007년 6월 4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경산 연장 구간(사월역 ~ 영남대역)이 착공되었다.[1] 2008년 10월 1일에는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에서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009년 5월 17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착공되었다.[1] 2015년 4월 23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칠곡경대병원역~용지역)이 개통되었다.[2] 3호선은 대구 북구 칠곡에서 중구 도심을 거쳐 수성구 범물동까지 연결되는 23.95km의 모노레일 경전철 노선이다.[2] 명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청라언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2]
2010년 7월 22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4단계 서편 연장 구간(설화명곡역 ~ 대곡역)이 착공되었다.[1] 2011년 1월 1일에는 새로운 교통카드인 탑패스 카드와 비씨후불교통카드가 개통되었다.[1]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경산 연장 구간(사월역 ~ 영남대역)이 개통되었다.[1] 2016년 9월 8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4단계 서편 연장 구간(설화명곡역 ~ 대곡역)이 개통되었다.[1]
2. 4. 2017년 ~ 현재: 안전 강화 및 추가 확장
2017년 5월 25일, 대구 도시철도 1, 2, 3호선 91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안전성이 강화되었다.[1] 1호선은 진천역과 동촌역을 시작으로 2017년 5월 20일에 동구청역까지 설치가 완료되었고,[1] 2호선은 강창역과 성서산업단지역, 내당역을 시작으로 2017년 5월 25일에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에 스크린도어가 완비되었다.[1] 3호선은 개통일부터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가동하였다.[1]2019년 5월 17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5단계 (안심역 ~ 하양역) 구간이 착공되었다.[2] 이 구간은 2024년 12월 21일 개통되었다.[2]
2022년 9월 1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구교통공사'''가 출범하였다.
2024년 12월 14일에는 대경선 1단계 구간(구미 - 경산)이 개통되어, 대구역과 동대구역에서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
3. 노선
대구 도시철도는 현재 운영 중인 노선과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으로 나뉜다.
노선색 | 노선명 | 기점 | 종점 | 연장 | 역 수 | 운영 기관 |
---|---|---|---|---|---|---|
1호선 | 설화명곡 | 하양 | 37.1km | 35 | 대구교통공사 | |
2호선 | 문양 | 영남대 | 31.4km | 29 | ||
3호선 | 칠곡경대병원 | 용지 | 23.95km | 30 | ||
대경선 | 구미 | 경산 | 61.85km | 7 | 한국철도공사 |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으로는 4호선이 있으며, 2023년 6월 28일 기본 계획이 확정되어 2026년 착공,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3. 1. 운영 중인 노선
대구 도시철도는 현재 3개의 도시철도 노선과 1개의 광역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3. 1. 1.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달성군 화원읍과 대구 시가지 월배에서 도심을 거쳐 시가지 반야월 등 대구 혁신도시를 연결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1991년 12월 7일에 착공하여 1997년 11월 26일 진천역~중앙로역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1998년 5월 2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2년 5월 10일에는 대곡역~진천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으며, 달성군 화원읍 주민들의 청원으로 설화명곡역~대곡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현재 총 32개 역을 운영하고 있다.[1]
대구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면 안심역에서 하양역까지 8.87km 구간이 연장될 예정이다. 이 구간은 2019년 5월 17일 착공하였으며, 안심역에서 대구한의대병원역까지는 도시 철도 노선을 신설하고, 대구한의대병원역에서 하양역까지는 폐선되는 대구선 노선을 활용하여 건설될 예정이다. 2024년 12월 20일 개통식을 개최하고 12월 21일 개통한다.
차량기지는 안심차량사업소와 월배차량사업소가 있다. 월배차량사업소는 중검수를 담당하고, 안심차량사업소는 경검수만 담당한다. 열차는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승객 운송 수요가 증가하면 8량 1편성으로 증편할 수 있다. 반월당역에서 2호선으로, 명덕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3. 1. 2. 2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달성군 다사읍과 대구 성서 지역에서 도심을 거쳐 달구벌대로를 관통하여 경산시를 연결하는 31.4km의 도시 철도이다. 1996년 12월 19일에 착공하여 2005년 10월 18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 총 29개 역이 있다.2007년 6월 4일에는 3.32km 연장 구간이 착공되었고, 2012년 9월 19일 경산시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의 3개 역이 신설되었다.[1]
대구광역시의 주요 도로 중 서쪽 중앙과 동쪽 중앙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달구벌대로를 관통한다.
차량기지는 문양차량사업소 1곳만 있으며, 중형전동차 6량 1편성으로 운행 중이다. 수요가 증가하면 8량 1편성으로 증편할 수 있다. 문양차량기지에서는 경검수만 담당하며 청라언덕역과 명덕역 간의 연결 선로(영남대 방면)를 통해 월배차량기지로 회송하여 중검수를 실시한다.
반월당역에서 1호선으로, 청라언덕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3. 1. 3. 3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대구 북구 칠곡에서 중구 도심을 거쳐 수성구 범물동까지 연결하는 도시 철도이다. 총 길이는 23.95km이며, 모노레일 경전철 방식으로 2009년 7월 24일에 착공하여 2015년 4월 23일에 개통하였다. 30개의 역이 있으며, 차량기지는 칠곡차량기지와 범물주박기지 두 곳이 있다. 열차는 3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청라언덕역에서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명덕역에서 1호선과 환승할 수 있다. 향후 범물에서 범안로를 따라 대구미술관과 대구스타디움을 거쳐 고산역과 신기역을 지나 신서혁신도시까지 연장될 계획도 있었으나,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했다.
3호선 건설은 2009년 5월 17일에 경북대학교병원 칠곡캠퍼스와 용지 구간에서 완료되었다. 전체 노선은 23.95km 길이로, 경전철 시스템으로 모노레일로 운행되며, 스카이 레일(Sky Rail)이라고도 불린다.
3. 1. 4. 대경선 광역전철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구미시, 경산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 노선이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영을 담당하며, 구미역에서 경산역까지 총 61.85km, 7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3]
3. 2.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
4호선은 2023년 6월 28일 기본 계획이 확정되었으며, 2026년 착공하여 2030년 개통할 예정이다.
3. 2. 1. 4호선
2023년 6월 28일 기본 계획이 확정되었다. 2026년에 착공하여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대구시 교통국은 자동 안내 궤도 시스템 노선 건설 계획을 승인했으며, AGT 노선의 색상은 보라색으로 결정되었다.4. 운임
대구 도시철도의 운임은 전 구간 요금이 100% 동일한 '''균일 요금제'''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할인과 함께 대구광역시, 경산시의 시내버스와는 상호 환승 무료·할인이 가능하다. 2019년 8월 13일부터 영천시의 시내버스로 환승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13]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 선불식: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원패스
- 후불식: KB국민카드, BC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구 외환/하나SK카드)

종류 | 나이 | 승차권 (원) | 카드 (원) |
---|---|---|---|
전구간 | 어른 (만 19세 이상) | 1700KRW | 15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700KRW | 85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500KRW | 400KRW |
2023년, 전국 도시 철도에서 처음으로 경로 무임 제도의 대상 연령을 기존의 65세 이상에서 단계적으로 인상하여 2028년에 70세 이상으로 하기로 결정했다.
5. 안내 방송
대구교통공사의 안내 방송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제공된다. 2011년까지 한국어는 이윤정, 영어는 제니퍼 클라이드가 담당했으나, 2012년에 한국인 성우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바뀐 성우의 안내 방송과 부자연스러운 발음으로 인해 2013년부터 다시 이윤정, 제니퍼 클라이드 성우로 돌아왔다. 3호선의 차내 영어 안내방송은 바리 새버리스가 맡았으나, 현재는 제니퍼 클라이드가 영어 안내 방송을 담당하고 있다.[14] 전국에서 유일하게 일본어를 한국인(이윤정 성우)이 녹음한다.
현재 안내 방송을 담당하는 성우는 다음과 같다.
환승 안내 방송에는 대구교통공사의 로고송 중 일부가 사용된다.
6. 차량
우진산전 (대한민국|한국어)
| 3000호대
| 모노레일
| 28 (84)[4]
|-
| 대경선
| 한국철도공사
| 392000호대
| 광역 철도
| 미정
|}
6. 1.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화원읍에서 대구 시가지 월배, 도심, 반야월을 거쳐 대구 혁신도시까지 연결하는 28.4km의 도시 철도이다. 1991년 12월 7일 착공하여 1997년 11월 26일 진천역~중앙로역 구간을 부분 개통하였고, 1998년 5월 2일 전 구간을 개통하였다.[1] 2002년 5월 10일 대곡역~진천역 구간, 달성군 화원읍 주민들의 청원으로 설화명곡역~대곡역 구간을 연장하여 총 32개 역을 운영하고 있다.[1]대구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면 안심역에서 하양역까지 8.87km 구간이 연장될 예정이다. 2019년 5월 17일 착공하여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며, 안심역에서 대구한의대병원역까지는 도시 철도 노선을 신설하고, 대구한의대병원역에서 하양역까지는 폐선되는 대구선 노선을 활용한다. 2024년 12월 20일 개통식을 개최하고 12월 21일 개통한다.
차량기지는 안심차량사업소와 월배차량사업소가 있으며, 월배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 안심차량사업소에서 경검수를 담당한다. 열차는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승객 수송량 증가 시 8량 1편성으로 증편 가능하다. 반월당역에서 2호선, 명덕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1호선은 한진중공업 (대한민국한국어)에서 제작한 1000호대 도시 철도 차량 63편성(216량)을 운행한다.[4]
노선명 | 노선명 | 기점 | 종점 | 역 수 | 총 연장 (km) |
---|---|---|---|---|---|
1호선한국어 | 설화·명곡 | 안심 | 32[2] | 28.4[2] |
6. 2. 2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달성군 다사읍과 대구 성서 지역에서 도심을 거쳐 달구벌대로를 관통하여 경산시를 연결하는 31.4km의 도시 철도이다. 1996년 12월 19일에 착공하여 2005년 10월 18일에 전 구간을 개통하여 운행 중이다. 총 29개 역이 있다. 2007년 6월 4일에는 3.32km 연장 구간이 착공되었고, 2012년 9월 19일 경산시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경산시에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의 3개 역이 신설되었다. 대구광역시의 주요 도로 중 서쪽 중앙과 동쪽 중앙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달구벌대로를 관통한다.[1]차량기지는 문양차량사업소 1곳만 있으며, 현재 중형전동차 6량 1편성으로 운행 중이다. 다만 수요가 증가하면 8량 1편성으로 증편할 수 있다. 문양차량기지에서는 경검수만 담당하며 청라언덕역과 명덕역 간의 연결 선로 (영남대 방면)를 통해 월배차량기지로 회송하여 중검수를 실시한다. 반월당역에서 1호선으로, 청라언덕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2호선은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000호대 도시 철도 차량을 사용하며, 30개 편성(180량)이 운행 중이다.
노선 | 제조사 (원산지) | 모델 | 형식 | 차량 편성 수 (차량 수) |
---|---|---|---|---|
2호선 | 현대로템 (대한민국한국어) | 2000호대 | 도시 철도 | 30 (180) |
6. 3. 3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대구 북구 칠곡에서 중구 도심을 거쳐 수성구 범물동까지 연결하는 23.95km의 도시 철도이다. 모노레일 경전철로 2009년 7월 24일에 착공하여 2015년 4월 23일에 개통하였다. 총 30개의 역이 있고, 칠곡차량기지와 범물주박기지가 있다. 3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청라언덕역에서 2호선으로, 명덕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당초 범물에서 범안로를 따라 대구미술관과 대구스타디움을 거쳐 고산역과 신기역을 지나 신서혁신도시까지 연장될 계획도 있었다. 이때 고산역은 2호선과, 신기역은 1호선과 환승될 예정이었지만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했다.
3호선은 히타치 교통 시스템 코리아와 우진산전이 제작한 3000호대 모노레일 차량을 사용하며, 28편성(84량)이 운행 중이다.[4]
6. 4. 대경선
영어한글